클라우드 & 오픈소스 개발자를 위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구성과 설정
소개
이 글은, 클라우드 & 오픈소스 개발자를 위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구성과 설정에 대해서 소개.
WSL을 이용하면, 윈도우 개발환경에서 손쉽게 Ubuntu 등의 여러 리눅스 배포판 개발 환경 구축 가능.
특히,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node 개발할때 우분투 환경을 사용.
SQLER에서 앞으로 다룰 많은 머신러닝, 클라우드 개발, 오픈소스 개발은 WSL 기반으로 소개 예정
준비사항
- Windows 10 OS가 버전 1903 이상 또는 build가 18362 이상 (버전을 체크하려면 cmd에서 ver 명령 수행)
- ARM64 환경에서는 버전 2004 이상, build가 19041 이상
- 빌드가 18362 이하에서는 WSL2 지원 안함. Windows 업데이트 후 설정
개발자 머신이라면 조건은 대부분 만족 하실겁니다.
설치 절차
- Windows 10에서 "Virtual Machine Platform" 설정 활성화
- 파워쉘에서 명령 수행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이 문서의 링크를 통해 "Download the Linux kernel update package" 다운로드 후 설치
(2021년 1월 13일 업데이트) 만약 설치시 ""This update only applies to machines with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오류가 발생할 경우 아래 github 가이드 내용대로, "Linux용 윈도우 하위시스템"을 제거 후 리부팅, 재설치, 리부팅 후 다시 시도해 보면 설치가 잘됨.
Error: This update only applies to machines with Windows Subsystem for Linux · Issue #616 · MicrosoftDocs/WSL (github.com)
- WSL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
wsl --set-default-version 2
- Microsoft store WSL 링크에서 기본 리눅스 배포판(distribution) 선택
- Ubuntu 16.04부터 SUSE 리눅스, 데비안 등을 선택 가능
- WSL 설치 후 실행하하고, 우분투 계정 설정, 계정 설정은 당연히 우분투의 기능 그대로.
- 선택 : 추가적으로 Windows Terminal 구성(저는 개인적으로, tmux 씁니다)
WSL 구성 수고하셨습니다.
주의사항
- WSL1과 WSL2 체크
- Machine Learning / Deep Learning 등에서 현재 개발 시스템의 GPU를 쓰려면 관련 설정 필요
- WSL은 가상화(virtualization으로 동작), WSL 환경 안에서 docker 실행시 체크 필요
wsl 백업과 복원
2021년 1월 13일 추가
위 문서의 내용으로 wsl backup / restore 수행하면서 겪은 시행착오 업데이트
wsl 백업 명령
powershell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후 아래 명령 수행
wsl --list -v # 위 명령을 수행해 "distro이름" 확인 wsl --export <distro이름> ./압축파일명.tar wsl --export PerfectWSLDistro ./PerfectWSLDistro.tar
생성된 압축파일명.tar을 복구할 시스템으로 복사 후 아래 명령 수행.
마찬가지로, 파워쉘에서 실행
복구할 디렉토리 생성 mkdir ~/AppData/Local/<distro이름> wsl --import <distro이름>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distro이름> 압축파일명.tar --version 2
위의 scott의 가이드에서 아래 명령을 수행하는데, 내 경우 ~가 먹지 않아 위처럼 absolute path 사용해 복구 실행
복구 후 wsl에 접속하면, 기본 root 계정으로 접속됨. default account를 변경해야 함.
그런데, 여기에서 기존 문서가 동작하지 않음. github에서 관련 내용 찾음.
# wsl default account를 변경하는 파워쉘 함수 생성 Function WSL-SetDefaultUser ($distro, $user) { Get-ItemProperty Registry::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Lxss\*\ DistributionName | Where-Object -Property DistributionName -eq $distro | Set-ItemProperty -Name DefaultUid -Value ((wsl -d $distro -u $user -e id -u) | Out-String); }; # 아래와 같은 명령을 수행해 기본 계정 변경 WSL-SetDefaultUser <Distro이름> <기본계정이름>
이렇게 wsl과 계정 모두 복원 가능
참고링크
- WSL 구성
Comment 1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Notice | 2023년 1월 - SQLER의 업데이트 강좌 리스트 | 코난(김대우) | 2023.01.02 | 2161 |
1 | Zabka 그룹의 리테일 비즈니스 소개 영상 | 코난(김대우) | 2023.01.13 | 31 |
0 |
[2023 IT트렌드] 2026년, 55%의 기업이 독립된 OO시스템으로 곤란
![]() | 코난(김대우) | 2022.12.14 | 34 |
-1 | [2023 IT트렌드] 2024년, 클라우드를 구입하면 OO가 번들로 제공 | 코난(김대우) | 2022.12.12 | 44 |
-2 | 클라우드 Azure 자격증 추가 소개 - AZ-900 Azure Fundamentals | 코난(김대우) | 2022.10.20 | 74 |
-3 |
Service Principal과 Azure 리소스 접근/사용을 위한 인증 방법 3+1가지
![]() | 코난(김대우) | 2020.12.26 | 392 |
-4 | Azure storage 관리 도구 - storage explorer 설치와 사용 방법 | 코난(김대우) | 2020.12.25 | 277 |
-5 | Azure cli -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줄 인터페이스 도구를 쓰는 이유와 방법 | 코난(김대우) | 2020.12.25 | 278 |
» |
클라우드 오픈소스 개발환경 - WSL
[1] ![]() | 코난(김대우) | 2020.12.20 | 1038 |
2021년 1월 13일 업데이트
- Error: This update only applies to machines with Windows Subsystem for Linux #616
오류가 발생할 경우의 해결 방안
- wsl 백업/복구 과정
- 기본계정 변경 방안
에 대해서 문서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