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AWS, GCP 클라우드 활용 Tip과 강좌 게시판
Azure VM Role과 함께 보낸 좌절과 희망의 연속 2박 3일
부제(5번의 역경 끝에 VM Role 을 성공 하다.)
먼저 아래 가이드 문서가 없었다면, 아마도 쉽게 성공할 수 없을 것 입니다.
남정현 님의 Windows Azure VM Role 미리보기 포스팅에 감사 드립니다.
간략하게 나와있는 포스트도 있으며, 아래 URL 을 참고
http://msdn.microsoft.com/en-us/gg502180
그리고 도움을 주신 선필님과 대우형님, 성욱님께 감사 드립니다.
작업일지 형식이므로, 반말 난무.. 이해해 주시길..
Azure VM Role과 함께 보낸 좌절과 희망의 연속 2박 3일(작업 일지)
(5번의 역경 끝에 VM Role 을 성공 하다)
시작시간 : 2월 12일 낮 : 12시 자료 준비 완료 시작
- 첫 번째 역경(Hyper-V 바이오스 ㅜ.ㅜ)
HP 장비에서 Intel VT와 Execute Disable Bit 을 켜야 하는데.
http://icerainbow.tistory.com/1177
이게 참 난감하다. 서버실을 몇번이나 왔다 갔다 했는지 모르겠다.
결국 포기하고 새로운 IBM 노트북 장비를 임대 받아 시도했지만 Hyper-V 가 구동되지 않았다
5시간 동안 인터넷 광클 과 몇번의 재부팅 끝에 알아낸 설정들
IBM 장비는 바이오스 업데이트하고 재부팅 하니깐 됨 ㅜ.ㅜ
결론,
Hyper-V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스 설정을 변경하고
인텔 CPU 유틸로 설정 정보를 확인해야 함
5시간 지났음. ㅜ.ㅜ
2월 12일 오후 7시
Hyper-V가 구동되어 게스트 OS(Windows Server 2008 R2 x64 이어야 함) 를 설치하고, 서비스 팩1을 적용함
(서비스 팩1 적용하는데 무려 2시간 걸림, 중간에 멈춰서 안되는 줄 알고 재부팅함, 원래 되는 거였음 ㅜ.ㅜ 그냥 놔두면 1시간인데….), MSSQL을 설치하고,
Azure VM Role Integration Component 설치하여,
vhd파일을 만드는데 성공함.
게스트 OS는 자원을 나눠줘야 하기 때문에 서버의 모든 자원을 사용할 수가 없음 그래서 설치하는데 무지 오래 걸림..
5시간 지났음 ㅜ.ㅜ
2월 12일 오후 11시
- 두 번째 역경(csupload)
업로드 명령어를 만들어 구동하였는데, Site 지정이 안되어서 오류
(The affinity group or location must be set.)
인터넷 또 뒤짐, msdn에 옵션을 보니 site 지정하거나 지정사이트 옵션 둘 중에 하나는 꼭 표기해야 한다고 나옴 ㅜ.ㅜ
사이트를 동아시아로 설정함 그런데 이번엔
Cannot find the VM Role Agent.
오류가 나옴. Msdn을 뒤져보니 게스트 OS가 English Only 이어야 된다고 나옴!!!!!! English Only, English Only 으아악 5시간 동안 셋팅한걸
첨부터 다시 해야 함, 야밤에 영문 OS를 구해야 하는 부담감. 정말 이때는 포기하고 싶었음
혹시나 하는 마음에 구글링을 해봄 VM Role Guest OS Language Issue 머 이렇게 하고 1시간 뒤지니 중국님이
–SkipVerify 옵션을 주었다고 이분도 중국어 OS로 올렸다가 에러가 나서 낭패를 본 후 저 옵션을 줘서 해결했다고 하니, 다시한번 힘이 솟음
정말 업로드가 됨 20G를 초당 5MB 씩 올리고 있음
2월 13일 새벽 2시부터 시작함..
한 시간 모니터링 후 야식 먹고 계속 업로드가 잘 되는지 모니터링 함
- 세 번째 역경(New Virtual Machine Role)
이제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한 셋팅을 해줘야 함, 예전에 Web, Work, Storage 배포 경험이 있어서 인증서 관련해서는 그냥 쉽게 넘어가는 듯 하였으나, 셋팅이 꼬였는지 3번이나 올림. 한 시간 또 해맴.
그런데 VS에서 New Virtual Machine Role 옵션이 안나옴 ㅜ.ㅜ
서버에 VS 2010 을 설치하는게 부담되서 작업 노트북으로 옮겨서 셋팅하고 있는데 이게 안나오는 이유가 Hyper-V 와 셋팅이 관련이 있는거라 생각 되어 IBM노트북에 VS 2010을 또 광설치함 하지만 거기에도 안나옴. MS 가이드에서는 VM Role 이 베타이고, 신청시 가이드를 따라야 그 옵션이 나올꺼다.. 그러면 머머를 해야 나온다고 되어 있음, 자세한 설명이 안되어 있음. 또 한시간 동안 구글링을 하니, 레지스터리에 뭔가를 등록해야 한다고 하고 나와서, 똑같이 했지만 에러만 날뿐 마땅한 해결책이 없음. 아.. 원격 안되면 아무 소용없는데…좌절과 희망의 연속임
관리자 포털에서 자세히 봐도 설명은 없음, msdn에도 안나옴,
혹시나 하는 마음에 메일에서 뒤져 봄, 베타 신청 메일에 레지스터리 등록하는 파일 경로가 있음 (아.. 정말 이때는 소가 뒷걸음치다 쥐잡는 격임) 레지스터리에 등록하니 메뉴가 뜸. Role 셋팅 후 업로드가 다 될때까지 대기 함
2월 13일 새벽 5시
사우나 갔다 와서
2월 13일 오전 10시 반 부터 재시작
- 네 번째 역경(Account)
게스트 OS설치시 administrator로 하고, 원격에 대한 옵션을 확인해 봄
VM Role 배포하고 터미널로 접속 되지만,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할 수 가 없다고 나옴, 인증서에 나온 만료일이 지난 줄 알고 인증서 부터 첨부터 배포했지만 계속 계정을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옴
남정현님의 가이드에 보면 권장사항으로 보안때문에 administrator계정말고 새로 만들것을 권장하길래… 혹시나 하는 마음에 새로 계정을 만들어 인증서 배포하고 다시 rdp 파일을 다운받으니 접속이 됨 ㅜ.ㅜ
정말 눈물남
2월 13일 오후 3시
테스트해보니 내부적으로 잘됨 IIS도 잘됨.
- 다섯 번째 역경(MS SQL Connect Issue)
그런데 그런데, 외부에서 MS SQL 연결이 안됨 안됨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셋팅하고 기본적인 셋팅은 했으나 역시 안됨
방화벽 내려도 안됨
인터넷 광클, 구글링 다해봐도 마땅한 해결책을 찾아 보기 힘듦
게시판에 올리고 멜 보내고 회신을 기다려봄
선필님하고 통화함 포트를 꺽으라고 추천해 주심, 설마 1433 포트
를 막아놓았을 가능성… 어쩐지 포스트에서 1433포트가 막혔을 수도 있다는 글을 본것도 같음
1433 포트를 포기하고 다른 포트로 우회함
접속 됨
2월 14일 오후 2시
상황 종료..
우선 위추 드립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