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AWS, GCP 클라우드 활용 Tip과 강좌 게시판
안녕하세요 이지만 입니다 ^^;
이번 캠프를 통해 Azure가 어떠한 서비스 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캠프에도 지원을 계속 해볼까 고민중입니다. ^0 ^;;
제후기를 통해 많은 분들이 짦은 시간안에 Azure가 무었인지 알수 있었으면 합니다 ^^
PDF로 올려드렸던 내용을 웹에서 바로 보실수 있게 문서를 그대로 옮겼습니다.
20130221 오늘 새벽에 메일이 왔다…
접속 계정과 비밀번호가 적힌 메일 이었다…
Sqler의 공지내용을 통해 접속 url을 확인한뒤 접속을 시도해 보았다.
처음 접속한 화면…
뭔지모르게 깔끔하고 써보고 싶은 UI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씩 해봐야 겠다 ^^
Azure를 체험할 수 있는 사이트의 링크이다.
http://www.windowsazure.com/ko-kr/
처음 접속한 화면을 보면 기본적으로 내가 쓸수 있는 내용들이 셋팅된것을 볼수 있다.
체험기간이 모두 끝나면 전체 삭제가 되지만 추가로 또 만들수가 있다 ^^;
SQL 서버 관리로 들어 갔을때 Silverlight를 설치하라고 한다.
Database Web 접속 화면이다.
메일에서 제공된 계정으로 처음 로그인 해본 DB관리 화면
첫번째 DB화면
두번째 DB화면
가장 처음 생각나는건 … 버전이 뭘까 였다. 새 쿼리 메뉴를 통해 VERESION을 확인해 보았다.
여기까지 간단 맛보기로 하고 다시 Azure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좀더 내용을 찾았다.
SQLER에서는 2010년부터 코나님이 글을 기재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았고,
Azure Powershell이 따로 있다는것을 MS 사이트를 통해 확인 하게 되었다.
다양한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접속 할수 있도록 준비를 해둔것을 보면…
모든 고객(Unix, Mac, Linux)을 대상으로 준비한것이 보인다.
http://www.windowsazure.com/en-us/downloads/?fb=ko-kr#cmd-line-tools
직접 커맨드 툴을 설치해 보았다.
웹에서 바로 설치가 실행 되며
설치하고자 하는 선택 사항들을 아래와 같이 선택후 설치를 진행 하였다.
설치가 진행 되는 화면의 모습
클라이언트 툴과 함께 사용되는 APP들이 설치가 완료 되었다.
설치가 종료된 후에 추가적으로 더 사용하고 싶은 APP들을 추가 설치 할수 있다.
단기간에 많은것을 할수는 없을것이다. 하지만 캠프가 끝나고도 로그인이 가능하므로,
아래 관련 링크에서 충분한 학습을 한뒤 체험을 한다면 더 좋은 경험이 될것이다.
캠프가 끝난뒤에 혹시나 하여 로그인후 DB를 생성해 보았다.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는것을 확인 할수 있었다
^^; 캠프 기간은 끝났지만. 좀더 해볼수 있는 시간이 주어져 있다.
WEB SITES를 추가할수 있는 화면 신규 추가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다양한 옵션을 통해 손쉬게 WEB SITES를 구성 할수 있다.
신규 WEB SITES 구성시 MSSQL 뿐만 아니라 MySQL도 선택할수 있다는것이 좀 의외 였다 ^^;
그리고 기존에 DB를 생성해 둔것이 있다면 그 DB로 연결 할수 있도록 선택사항에서 뜬다는 내용을 확인할수 있었다.
본인이 Ninjago_A로 생성했던 DB가 아래 목록에서 보이는것을 확인 하였다.
MySQL을 선택하고 다음 사항으로 진행해 보았다.
데이터 베이스 이름 지정은 기본으로 하고 생성을 완료 하였다.
아래와 같이 web sites 가 생성 되는것을 볼수 있었다.
생성이 완료 되면 URL 부분에 생성한 web site 주소가 나타나게 되며, 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샘플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내가 지정했던 MySQL DB는 따로 ALL ITEMS 목록에 나타나지는 않았다.
어디로 간걸까 ^^?
이번에는 가상 머신을 만들어 보겠다.
신규 가상머신을 만들기위하 생성을 눌렀더니 처음 WEB Sites 를 만들때와 동일한 메뉴에서 기본 선택 메뉴만
바뀐체로 가상 서버를 만들수 있도록 설정이된 생성 화면이 나타났다.
가상머신의 image 박스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내가 만들고자 하는 OS의 버젼을 다양하게 선택 할수 있다.
Azure의 기본컨셉 자체가 MS제품 뿐 아닌 다른 제품들도 컨트롤 하기 위함임을 이미 위쪽에서 언급한 내용에서 미루어 짐작하면
아래 LINUX 계열의 OS가 보이는것은 그리 놀랍지는 안을수도 있지만… 본인은 한번더 놀랬다 ㅡㅡ;;>
서버의 하드웨어 스팩도 원하는 만큼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최종 선택을 마무리 하고 서버를 만들어 보겠다.
비밀번호를 너무 단순하게 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볼수 있을것이다 ^^;
보안쪽도 기본적으로 신경을 써주고 있는 부분이 보인다.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재수정 하고 나서야 가상머신을 만들수 있었다.
생성을 시작하면 하단부에 아래와 같은 녹색 바가 왔다 갔다하며,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현재 진행중인 작업 상태를 Text로 볼수 있다. 가상머신 생성은 다소 시간이 걸리는구나 ^^;;
가상머신이 만들어 지는동안 모바일 서비스를 구성해 보겠다.
url을 입력하고 DB를 어떻게 할것이 선택 하였다.
지역이 다를경우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것을 확인 할수 있었다 ^^;
이말은 DB를 한곳에 두고 여러 나라에 서비스가 힘들다는 뜻일까? 되물어 보게 된다.
모바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사이 가상 머신 생성이 완료 되었다 ^^;
아래와 같이 가상서버가 완료되면 계속 하단부에 따라다니며 메뉴를 볼수 있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만드는 화면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생성 한후 URL을 클릭해 보았다, 어떤 화면일 보일까~~?
추가적으로 작업을 해주어야 하나 보다. 아래와 같이 에러 화면만 나를 반기고 있었다.
지금까지 여러가지 서비스를 다양하게 만들고 있었다. 그러면서 초반에 스토리지 부분을 설정을 안했기 때문에
따로 신경은 안쓰고 있었는데, 서비를 만들면서 스토리지 까지 자동 생성 되었던 것을 확인 할수 있었다.
아래와 같이 랜덤하게 스토리지 이름이 지정되어 생성된 스토리지정보를 볼수 있었다.
스토리지 부분은 다른것들과는 좀 다른 메뉴가 있었는데 바로 MANAGE KEYS메뉴 이다.
스토리지에 접속하기 위한 키와 계정을 관리 하는것을 볼수 있었다~
가상환경이니 만큼 가상 네트웍도 내가 원하는 대로 설정 할수 있도록 가상 네트웍을 생성 하는 부분이 있다.
가상 네트웍을 생성 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채운뒤
아래와 같이 가상 IP영역을 구성할수 있었다.
이내용을 봤을때 같은 Azure 서버를 쓰면서도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에 구애 받지않고
네트웍 구성을 자유럽게 할수 있음을 짐작 할수 있었다.
주소 공간을 추가 하면 아래와 같이 계속 추가가 된다~ 최대 3개 가지 생성 되는것을 확인 하였다.
네트웍 추가 구성이 완료 되었다.
SERVICE BUS와 MEDIA SERVICES는 뛰어 넘도록 하겠다 ^^; 개인적으로 별로 아직 관심이 안가는 부분이다.
다음은 가상서버를 구성해서 AD를 구성할수 있도록 AD구성 메뉴가 눈에 확 들어 왔다
어서 구성해 봐야 겟다.
하단부에 있는 녹색바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내가 작업 했던 세부 내용들을 간략하게 볼수 있으며,
OK를 클릭 하면 사라진다
마지막으로 Add-ONS라는 항목이 있다.
부족한 부분은 구현을 못해서가 아니라, 수익창출을 위함임을 볼수 있다 ^^;
다양한 추가 옵션들을 구매할수 있는 마킷이 보인다.
상품 선택 화면
간편하게 Azure에 어떠한 서비스 들이 있는지 직접 보고 구현해 보았으며, 상당히 쉽게 서비스를 추가 제거 할수 있다는것을 느꼇다.
관리야 MS에서 대부분 다 해주겠지만, 민감한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약간은 불안감이 있을듯한 서비스 들인거 같다.
지금까지 추가한 내용들을 All items에서 상태와 함께 서머리 형태로 볼수가 있었다.
Cloude시대에 Azure가 SQLER를 통해 조금씩 그 두각을 드러내려 하고 있는듯하다.
본인은 Azure서비스가 최근에 나온것으로 알고 우연히 이번 캠프에 찾여 했었다. 하지만 좀더 알아보다 보니 2010년 전쯤 부터 시작된 서비스 인듯 하다.
또한 과거에 눈여겨 보았던 실버라이트가 상당히 많이 발전했다는것을 느낄수 있는 환경 이기도 했다.
계정이 끊이지 않는한 캠프가 끝나도 계속해서 써봐야 겠다 ^^
다음번엔 리눅스 환경에서 해봐야 겠다~ ㅋㅋ; 모질라나 크롬에서 실버라이트가 될까? ㅡ_ㅡ;;?
지만님 잘 정리하셨네요. 다음 캠프때에는 리눅스 base에 mongodb 테스트 해보고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