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 check cache 크기에 따른 성능 문제

 

  • Version : SQL Server 2005, 2008, 2008R2, 2012

 

데이터베이스 개체를 SQL Server에서 액세스 할 때 액세스 검사는 access check result cache라는 내부 구조에 캐시 된다. 캐시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경우 성능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무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access check result cache 크기를 줄이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 권한을 다시 계산하여 높은 CPU 사용량이 발생할 경우 access check result cache 크기를 늘려야 한다.

 

sp_configure의 access check cache quota 및 access check cache bucket count 옵션은 access check result cache에 사용되는 해시 버킷의 수와 항목을 제어 한다.

 

 

SQL Server 2005의 버전에서 알려진 문제는 x86, x64 시스템과 메모리 2GB 이상의 환경에서 쿼리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sysadmin 고정 서버 역할 구성원이 아닌 로그인의 컨텍스트에서 쿼리를 실행할 때 높은 CPU 사용량, 작업자 스레드, SQL 사용자 연결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Security Token cache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 한다.

 

2GB 메모리 미만의 시스템에서는 일반 메모리 요구 사항이 너무 커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 할 수 있다.

  • SQL Server 2005 환경에서는 SP3와 CU1을 적용
  • DBCC FREESYSTEMCACHE('TokenAndPermUserStore')를 사용하여 TOKENPERM 캐시를 정리
  • 플래그 –T4618, -T4610 사용하여 TokenAndPremUserSotre 캐시 유지관리 항목 수 제한

 

 

[현재 캐시에 사용된 토큰 종류 확인]

항목의 수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피크 타임에는 가급적 명령을 실행하지 않도록 한다.

SELECT COUNT(*) as TokenCount, *

FROM

    (SELECT

         x.value('(//@name)[1]', 'varchar (100)') AS [Token Name],

         x.value('(//@class)[1]', 'bigint') AS [Class],

         x.value('(//@subclass)[1]', 'int') AS [SubClass]

    FROM

         (SELECT CAST (entry_data as xml)

            FROM sys.dm_os_memory_cache_entries

            WHERE type = 'USERSTORE_TOKENPERM'

         ) AS R(x)

) as a

GROUP BY [Token Name],[Class],[SubClass]

 

 

 

[토큰 캐시에 사용된 메모리 양 확인]

SELECT SUM(single_pages_kb + multi_pages_kb) AS "SecurityTokenCacheSize(kb)"

FROM sys.dm_os_memory_clerks

WHERE name = 'TokenAndPermUserStore'

 

 

문제 발생의 특정한 임계값은 없지만 모니터링을 통해 캐시가 증가하는 속도를 확인해야 한다. 캐시 문제가 발생 할 경우 캐시 증가로 확인 할 수 있다.

 

[캐시를 액세스하는 동안 경합 확인]

아래 스크립트를 실행 하여 MUTEX 증가 값을 확인한다. SQL Server 프로세스 내부에 여러 스레드가 뮤텍스라는 스핀락 경쟁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스핀락은 SQL Server 엔진에서 사용하는 매우 경량의 동기화 매커니즘이다. 특정 스핀락이 보호하는 데이터 구조에 따라 SQL 엔진 내에서 고유한 이름이 지정된다.

SET NOCOUNT ON

CREATE TABLE #spins([Spinlock Name] varchar(50),Collisions numeric,Spins numeric,[Spins/Collision] float,[Sleep Time (ms)] numeric,Backoffs numeric)

INSERT INTO #spins EXECUTE ('DBCC SQLPERF (''SPINLOCKSTATS'')')

SELECT TOP 20 * FROM #spins ORDER BY Collisions DESC

DROP TABLE #spins

 

 

 

위의 상황과 연관되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쿼리 시간이 오래 걸림
  • CPU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
  • 응용프로그램에서 연결(특히 커넥션 풀 환경에서)이 계속 증가
  • 연결 또는 쿼리 시간 초과 발생

 

 

[참고자료]

  • Access check cache 옵션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cc645588(v=sql.105).aspx

http://blogs.msdn.com/b/psssql/archive/2008/06/16/query-performance-issues-associated-with-a-large-sized-security-cache.aspx

 



강성욱 / jevida@naver.com
Microsoft SQL Server MVP
Blog : http://sqlmvp.kr
Facebook : http://facebook.com/sqlmvp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SQL강좌: 챗GPT와 함께 배우는 SQL Server 무료 강좌 목차와 소개 (2023년 9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3.08.18 37971
Notice Python 무료 강좌 - 기초, 중급, 머신러닝(2023년 6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1.01.01 20648
1814 SWITCHOFFSET 내장함수의 잘 못된 예측 - 미리 계산한 값을 쿼리에 연결하여 최적화 하기 jevida(강성욱) 2016.09.30 1429
1813 테이블 반환 매개변수 사용과 SQL 2012의 향상된 캐싱 기능 jevida(강성욱) 2016.09.30 1323
1812 디스크 섹터 크기와 데이터베이스 성능 jevida(강성욱) 2016.09.29 1732
1811 CLR 사용시 CPU 사용률 증가 현상 jevida(강성욱) 2016.09.29 1862
1810 DMV를 이용한 CPU 사용량 높은 쿼리 찾기 jevida(강성욱) 2016.09.29 4797
1809 DMV를 이용한 인덱스 크기 및 조각화 정보 반환 jevida(강성욱) 2016.09.29 1223
1808 Checkpoint 추적하기 jevida(강성욱) 2016.09.29 1353
1807 중복 인덱스와 성능(Duplicate Indexes with Performance) jevida(강성욱) 2016.09.29 2456
1806 823, 824, 825, 832 오류 (DISK IO 오류) jevida(강성욱) 2016.09.29 2281
1805 DISK I/O 병목 확인 jevida(강성욱) 2016.09.29 4416
1804 SQL Server 2012에서 비상계정 생성하기 - 비밀번호를 잊어 버렸을 경우 대처하기 jevida(강성욱) 2016.09.29 1538
1803 SQL Server 차단 최소화 jevida(강성욱) 2016.09.29 1212
1802 자주 사용되는 System 함수 jevida(강성욱) 2016.09.29 1115
1801 프로시저와 임시테이블, 그리고 리컴파일 jevida(강성욱) 2016.09.29 2547
» access check cache 크기에 따른 성능 문제 jevida(강성욱) 2016.09.29 1158
1799 Hot Add CPU jevida(강성욱) 2016.09.29 911
1798 스레드 및 파이버 실행 jevida(강성욱) 2016.09.29 1107
1797 CPU에 스레드 할당 및 lightweight pooling 옵션 사용 jevida(강성욱) 2016.09.29 1833
1796 스레드 및 태스크 아키텍처 jevida(강성욱) 2016.09.29 1512
1795 메모리 관리 아키텍처 – NUMA 버퍼 풀 증가 및 축소 jevida(강성욱) 2016.09.29 129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