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Stream Garbage Collection

jevida(강성욱) 2016.10.18 07:30 Views : 3475

FileStream Garbage Collection

 

  • Version : SQL Server 2012

 

SQL Server는 FILESTREAM 가비지 수집기를 실행하여 불필요한 FILESTREAM 파일을 삭제 한다. 가비지 수집기를 사용하여 FILESTREAM 컨테이너 안의 삭제된 파일을 모두 정리해야 해당 컨테이너를 제거할 수 있다. FILESTREAM 가비지 수집기는 자동으로 실행 된다. 그러나 가비지 수집기가 실행되기 전에 컨테이너를 제거할 경우 sp_filestream_force_garbage_collection을 사용하여 가비지 수집기를 수동으로 실행 할 수 있다.

 

컨테이너 지정 안 할 경우

USE FSDB;

GO

EXEC sp_filestream_force_garbage_collection @dbname = N'FSDB';

 

컨테이너 지정 할 경우

USE FSDB;

GO

EXEC sp_filestream_force_garbage_collection @dbname = N'FSDB' @filename = N'FSContainer';

 

요청한 데이터베이스 및 FILESTREAM 컨테이너에서 완료될 때까지 FILESTREAM 가비지 수집기 태스크를 명시적으로 실행 한다.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경우 파일은 가비지 수집 프로세스에서 제거된다. 작업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최근 FILESTREAM 데이터에 발생한 DML 작업의 양과 해당 데이터베이스 또는 컨테이너에 있는 FILESTREAM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결정 된다.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 상태로 설정하여 이 작업을 실행 할 수 있지만 가바지 수집 프로세스가 수행하는 동안 I/O 저하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다.

 

FILESTREA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QL Server 구성관리자에서 활성화로 상태를 변경해야 한다. MSSQL Server 서 비스에서 [속성] – [FILESTREAM]탭에서 사용여부를 체크한다. Windows에서 FILESTREAM 데이터를 읽고 쓰려는 경우 파일 I/O 액세스에 FILESTREAM 사용을 체크한다. 원격 클라이언트가 이 공유에 저장된 FILESTREAM 데이터에 액세스해야 하는 경우 원격 클랑이언트 항목을 체크 한다.

 

SSMS를 실행하여 쿼리창에서 아래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FILESTREAM 활성화 한다.

EXEC sp_configure filestream_access_level, 2

RECONFIGURE

 

속성 변경을 완료 하였으면 SQL Server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다음 예제를 통해서 FileStream Garbage Collection 동작을 살펴보자.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파일 세트를 축적 한다.

create database dbFS

on primary(name='FSData', filename = 'd:\SQL_Data\FSData.mdf'),

filegroup RSFX CONTAINS FILESTREAM DEFAULT(name='Rsfx', filename='d:\SQL_Data\RsFx')

log on(name='FSLog', filename='d:\SQL_Data\FSData.ldf')

go

 

set nocount on

go

 

ALTER DATABASE dbFS set recovery full

go

 

backup database dbFS to disk = 'd:\SQL_Backup\DelMe.bak' with init

go

 

use dbFS

go

 

CREATE TABLE RsFx

(

[Id] [uniqueidentifier] ROWGUIDCOL NOT NULL UNIQUE,

[Text] VARBINARY(MAX) FILESTREAM NULL

)

GO

 

insert into RsFx values(NEWID(), 0x10101010)

go

 

update RsFx set Text = 0x20202020

go 100

 

FILESTREAM 폴더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로그 백업을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일이 남아 있으며 파일 이름은 트랜잭션 로그 레코드와 연관된 LSN 값이다.

 

 

FILESTREAM의 파일이름은 실제 LSN 이름과 일치한다. FILESTREAM 가비지 수집기가 정리 요구사항을 결정하는데 이 파일을 사용한다.

 

주의 할 점은 FILESTREAM 컨테이너에서 직접 파일 삭제는 데이터베이스 손상으로 간주되며 DBCC CHECKDB 손상을 보고 한다.

 

파일 스트림의 가비지 컬렉터를 가장 쉽게 하는 방법은 로그 백업과 체크포인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backup log dbFS to disk = 'c:\SQL_Backup\DelMe.bak' with init

go

checkpoint

go

 

 

FILESTREAM의 삭제 정보는 관리자 전용연결을 사용하여 삭제 테이블을 볼 수 있다. 반드시 관리자 전용연결(dac)을 사용해야 한다.

use dbFS

go

select * from sys.objects where name like '%tombstone%'

go

select * from sys.filestream_tombstone_2073058421 order by oplsn_fseqno asc, oplsn_bOffset asc, oplsn_slotid asc

go

 

 

GUID 열 및 FILESTREAM 값 이름을 참조 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버전 사본을 확인 할 수 있다. 가비지컬렉터는 이 테이블 정보를 사용하여 정렬된 LSN 및 클린업 파일에 접근 한다.

 

[참고자료]

  • sp_filestream_force_garbage_collection :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gg492195.aspx

  • FileStream (RsFx) Garbage Collection :

http://blogs.msdn.com/b/psssql/archive/2011/06/23/how-it-works-filestream-rsfx-garbage-collection.aspx

  • FileStream (RsFx) Garbage Collection–Part (2) :

http://blogs.msdn.com/b/psssql/archive/2014/04/04/how-it-works-filestream-rsfx-garbage-collection-part-2.aspx

 



강성욱 / jevida@naver.com
Microsoft SQL Server MVP
Blog : http://sqlmvp.kr
Facebook : http://facebook.com/sqlmvp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2023년 1월 - SQLER의 업데이트 강좌 리스트 코난(김대우) 2023.01.02 1291
1966 SQL Server Agent에서 CmdExec 오류 jevida(강성욱) 2016.11.23 2347
1965 Verbose SQL Server Agent Logging jevida(강성욱) 2016.11.23 1756
1964 Windows Event Log에 SQL Server Agent Log 기록 jevida(강성욱) 2016.11.23 2350
1963 SQL Server Agent Error log 위치 변경 jevida(강성욱) 2016.11.23 2610
1962 SQL Server에서 차단을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 jevida(강성욱) 2016.10.18 4664
1961 SQL Server CPU 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서 및 쿼리 찾기 jevida(강성욱) 2016.10.18 7250
1960 Collation 변경 jevida(강성욱) 2016.10.18 4636
1959 인덱스 리빌드 동작 (Gather Streams from SORT) jevida(강성욱) 2016.10.18 3503
1958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데이터베이스 이동하기 jevida(강성욱) 2016.10.18 3169
1957 백업 LSN 이해하기 jevida(강성욱) 2016.10.18 3470
1956 암호화 오버헤드 (작성자의 주관적인 자료임) jevida(강성욱) 2016.10.18 2872
1955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수집 jevida(강성욱) 2016.10.18 3211
» FileStream Garbage Collection jevida(강성욱) 2016.10.18 3475
1953 프로시저 캐시에서 중복 쿼리 계획 확인 jevida(강성욱) 2016.10.18 3709
1952 Sp_reset_connection jevida(강성욱) 2016.10.18 3582
1951 성능분석 17탄 – SQLServer 블록킹 / 네트워크 관련 성능 카운터 jevida(강성욱) 2016.10.15 3768
1950 성능분석 16탄 – 메모리 / CPU 관련 성능 카운터 jevida(강성욱) 2016.10.15 5666
1949 성능분석 15탄 – I/O 관련 성능 카운터 jevida(강성욱) 2016.10.15 4064
1948 성능분석 14탄 – SQL Server 사용 성능 카운터 jevida(강성욱) 2016.10.15 4033
1947 성능분석 13탄 – 누락된 인덱스(missing index) jevida(강성욱) 2016.10.15 24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