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bose SQL Server Agent Logging

jevida(강성욱) 2016.11.23 08:23 Views : 1788

Verbose SQL Server Agent Logging

 

  • Version : SQL Server 2005, 2008, 2008R2, 2012, 2014

 

SQL Server Agent 실행 결과를 출력파일로 저장하여 상세한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SSMS에서 [SQL Server 에이전트] – [작업] 에서 Verbose 로그를 남길 작업을 선택하여 속성을 실행한다. 작업 속성의 [단계] 탭에서 [고급]을 선택 한다.

 

[출력 파일] 항목에 로그 파일을 기록할 경로를 입력 한다. 로그 기록을 동일한 파일에 덧붙여 기록하려면 [기존 파일에 출력 추가]를 선택 한다. (선택 해제 시 최근 기록으로 덮어씀)

 

Verbose 로그를 확인 하기 위해 예제로 백업을 실행해 보았다. 지정한 경로에 로그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BACKUP DATABASE SW_TEST TO DISK = 'C:\ERRLOG\SW_TEST.BAK' WITH STATS = 10

 

 

 

로그를 살펴 보면 상세한 로그가 기록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한 개의 작업 목록에 여러 단계의 작업이 있을 때 각 작업에 대해 동일한 출력파일을 사용하고 [기존 파일에 출력 추가] 설정을 하면 각 단계의 로그를 한번에 확인 할 수 있다.

 

 

Verbose 로그를 사용하면 작업 실패 시 자세한 오류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오류 기록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강성욱 / jevida@naver.com
Microsoft SQL Server MVP
Blog : http://sqlmvp.kr
Facebook : http://facebook.com/sqlmvp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SQL강좌: 챗GPT와 함께 배우는 SQL Server 무료 강좌 목차와 소개 (2023년 9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3.08.18 38045
Notice Python 무료 강좌 - 기초, 중급, 머신러닝(2023년 6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1.01.01 20666
1974 비결정적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으로 인한 느린 쿼리 jevida(강성욱) 2016.11.23 3235
1973 스냅숏 격리 수준(SNAPSHOT ISOLATION LEVEL) jevida(강성욱) 2016.11.23 4667
1972 SQL Server 파라메터 스니핑의 다양한 접근 jevida(강성욱) 2016.11.23 3552
1971 잘못된 개체를 참조하는 SQL Server 개체 찾기 jevida(강성욱) 2016.11.23 2083
1970 전체 백업에서 포함되는 트랜잭션 범위 jevida(강성욱) 2016.11.23 2687
1969 REPL_SCHEMA_ACCESS 대기 유형 jevida(강성욱) 2016.11.23 2213
1968 Database 손상시 Emergency 모드로 복구하기 jevida(강성욱) 2016.11.23 3145
1967 서버 그룹을 이용한 다중서버 쿼리하기 jevida(강성욱) 2016.11.23 2160
1966 SQL Server Agent에서 CmdExec 오류 jevida(강성욱) 2016.11.23 2421
» Verbose SQL Server Agent Logging jevida(강성욱) 2016.11.23 1788
1964 Windows Event Log에 SQL Server Agent Log 기록 jevida(강성욱) 2016.11.23 2418
1963 SQL Server Agent Error log 위치 변경 jevida(강성욱) 2016.11.23 2648
1962 SQL Server에서 차단을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 jevida(강성욱) 2016.10.18 4806
1961 SQL Server CPU 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서 및 쿼리 찾기 jevida(강성욱) 2016.10.18 7342
1960 Collation 변경 jevida(강성욱) 2016.10.18 4762
1959 인덱스 리빌드 동작 (Gather Streams from SORT) jevida(강성욱) 2016.10.18 3548
1958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데이터베이스 이동하기 jevida(강성욱) 2016.10.18 3187
1957 백업 LSN 이해하기 jevida(강성욱) 2016.10.18 3506
1956 암호화 오버헤드 (작성자의 주관적인 자료임) jevida(강성욱) 2016.10.18 2903
1955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수집 jevida(강성욱) 2016.10.18 324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