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손상시 Emergency 모드로 복구하기

 

  • Version : SQL Server 2005, 2008, 2008R2, 2012, 2014

 

SQL Server에서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조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유일하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Emergency 모드이다.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 Emergency 모드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한다.
  2. 새로운 트랜잭션로그를 구축하기 위해 문서화 되지 않은 DBCC REBUILD_LOG 명령을 사용한다.
  3. 데이터 파일에 대한 손상을 해결하기 위해 REPAIR_ALLOW_DATA_LOSS 옵션으로 DBCC CHECKDB를 실행 한다.
  4. 데이터복구가 완료되면 백업을 진행하고 Emergency 모드를 해제 한다.

 

 

시나리오에 따라 실습을 진행하여 보자.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경우를 가정하고 진행 하였다.

 

문제가 발생한 데이터베이스를 Emergency 모드로 변경하고 다른 유저가 접속하지 못하도록 단일 사용자 모드로 변경한다.

ALTER DATABASE SW_TEST SET EMERGENCY;

GO

 

ALTER DATABASE SW_TEST SET SINGLE_USER

GO

 

 

 

DBCC CHECKDB를 실행한다. 이때 REPAIR_ALLOW_DATA_LOSS 옵션을 사용한다. 이 옵션은 손상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옵션이다. 중요 데이터의 경우 삭제 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DBCC CHECKDB (N'SW_TEST', REPAIR_ALLOW_DATA_LOSS) WITH ALL_ERRORMSGS

GO

 

 

 

데이터복구가 완료 되었으면 백업을 진행 한다.

BACKUP DATABASE SW_TEST TO DISK = 'C:\BACKUP\SW_TEST.BAK'

GO

 

 

백업이 완료 되었으면 Emergency 모드에서 Online 모드로 변경한다.

ALTER DATABASE SW_TEST SET ONLINE

GO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멀티유저모드로 변경한다.

ALTER DATABASE SW_TEST SET MULTI_USER

GO

 

 

손상된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업파일을 이용하여 복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손상된 상태에서 백업을 진행하였다면 백업 파일 또한 손상되어 있으므로 주기적인 백업과 백업파일에 대한 무결성 검사등을 진행하여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복구 방법은 이 외에도 비상로그 백업을 이용한 복구 등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비상시 대응 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만들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하자.

 



강성욱 / jevida@naver.com
Microsoft SQL Server MVP
Blog : http://sqlmvp.kr
Facebook : http://facebook.com/sqlmvp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SQL강좌: 챗GPT와 함께 배우는 SQL Server 무료 강좌 목차와 소개 (2023년 9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3.08.18 41445
Notice Python 무료 강좌 - 기초, 중급, 머신러닝(2023년 6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1.01.01 22474
1974 비결정적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으로 인한 느린 쿼리 jevida(강성욱) 2016.11.23 3241
1973 스냅숏 격리 수준(SNAPSHOT ISOLATION LEVEL) jevida(강성욱) 2016.11.23 4673
1972 SQL Server 파라메터 스니핑의 다양한 접근 jevida(강성욱) 2016.11.23 3554
1971 잘못된 개체를 참조하는 SQL Server 개체 찾기 jevida(강성욱) 2016.11.23 2088
1970 전체 백업에서 포함되는 트랜잭션 범위 jevida(강성욱) 2016.11.23 2688
1969 REPL_SCHEMA_ACCESS 대기 유형 jevida(강성욱) 2016.11.23 2218
» Database 손상시 Emergency 모드로 복구하기 jevida(강성욱) 2016.11.23 3148
1967 서버 그룹을 이용한 다중서버 쿼리하기 jevida(강성욱) 2016.11.23 2163
1966 SQL Server Agent에서 CmdExec 오류 jevida(강성욱) 2016.11.23 2428
1965 Verbose SQL Server Agent Logging jevida(강성욱) 2016.11.23 1792
1964 Windows Event Log에 SQL Server Agent Log 기록 jevida(강성욱) 2016.11.23 2428
1963 SQL Server Agent Error log 위치 변경 jevida(강성욱) 2016.11.23 2655
1962 SQL Server에서 차단을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 jevida(강성욱) 2016.10.18 4816
1961 SQL Server CPU 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서 및 쿼리 찾기 jevida(강성욱) 2016.10.18 7347
1960 Collation 변경 jevida(강성욱) 2016.10.18 4770
1959 인덱스 리빌드 동작 (Gather Streams from SORT) jevida(강성욱) 2016.10.18 3551
1958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데이터베이스 이동하기 jevida(강성욱) 2016.10.18 3189
1957 백업 LSN 이해하기 jevida(강성욱) 2016.10.18 3511
1956 암호화 오버헤드 (작성자의 주관적인 자료임) jevida(강성욱) 2016.10.18 2906
1955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수집 jevida(강성욱) 2016.10.18 324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