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Linux 기본Configure 명령

jevida(강성욱) 2017.09.13 03:04 Views : 3485

SQL Linux 기본Configure 명령

·         Version : SQL Linux, Ubuntu

 

SQL Server Linux에서 SQL Server 설치  기본 포트를 변경하거나 인스턴스 데이터 정렬셋 변경추적 플래그 설정  SQL Server 구성 정보를 설정 하는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본다.

 

Windows에서는 SQL Server 구성 관리자를 PowerShell 스크립팅과 같은도구를 SQL Server 구성 도구로 사용하는데 익숙하다하지만 Linux에서는 대부분 GUI 없는 상태로 콘솔에 의존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Microsoft SQL Server Linux 버전에서는 mssql-conf라는 구성도구를 포함시켜 사용자가 쉽게 구성 설정을   있게 하였다. mssql-conf 파일은 /opt/mssql/bin 폴더 위치한다.

 

mssql-conf 구성도구는 아래와 같은 인수를 사용하며 모두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Argument

Description

set

SQL Server 설정값을 설정. list 인수를 사용하여 사용가능한 설정 목록을 가져올  있다.

unset

set옵션으로 추가된 설정을 제거

traceflag

추적 플래그 설정 또는 해제

set-sa-password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는 동안 sa 암호 변경

set-collation

인스턴스의 데이터 정렬 변경

validate

/var/opt/mssql/folder 있는 SQL Server 구성파일 mssql.conf 내용 확인

list

set/unset 설정을 나열

setup

설치 스크립트 실행

start-service

SQL Server 서비스 시작 (리눅스 명령어인 systemctl start mssql-server 명령어 사용을 추천)

stop-service

SQL Server 서비스 중지 (리눅스 명령어인 systemctl stop mssql-server 명령어 사용을 추천)

enable-service

시스템 시작시 SQL Server 서비스자동 시작 설정

disable-service

시스템 시작시 SQL Server 서비스 자동 시작 해제

 

SQL Server TCP 포트 변경 ( : 14331 포트로 변경)

sudo /opt/mssql/bin/mssql-conf set network.tcpport <new_tcp_port>

sudo /opt/mssql/bin/mssql-conf set network.tcpport 14331

 

SQL Server 기본 포트를 사용하도록 변경

mssql-conf  unset network.tcpport

 

traceflag 설정 ( : 추적 플래그 1234 설정   이상의 추적 플래그 설정)

sudo /opt/mssql/bin/mssql-conf traceflag 1234 on

sudo /opt/mssql/bin/mssql-conf traceflag 1234 2345 4567 on

 

traceflag 해제

sudo /opt/mssql/bin/mssql-conf traceflag 1234 2345 3456 off

 

 

 

 

 

2017-06-22 / 강성욱 / http://sqlmvp.kr

 

SQL Linux, SQL Start, SQL Stop, SQL Disable, SQL Enable, SQL unbuntu, SQL 2017, SQL Server on linxu, linux SQL, mssql-conf, sql linux configure, sql linux trace flag


강성욱 / jevida@naver.com

Microsoft SQL Server MVP

Blog : http://sqlmvp.kr

Facebook : http://facebook.com/sqlmvp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SQL강좌: 챗GPT와 함께 배우는 SQL Server 무료 강좌 목차와 소개 (2023년 9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3.08.18 38132
Notice Python 무료 강좌 - 기초, 중급, 머신러닝(2023년 6월 업데이트) 코난(김대우) 2021.01.01 20674
2094 SQL Linux에서 기본 백업 디렉토리 변경 jevida(강성욱) 2017.09.13 3942
2093 Linux에서 DISK I/O 사용량 확인 jevida(강성욱) 2017.09.13 3923
2092 Linux에서 CPU 사용량 확인 jevida(강성욱) 2017.09.13 2312
2091 SQL Linux에서 SQL Server 시작, 중지, 활성, 비활성 jevida(강성욱) 2017.09.13 1537
2090 SQL Server DBA 체크리스트 jevida(강성욱) 2017.05.31 8289
2089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백업이 성공적인지 확인하는 방법 jevida(강성욱) 2017.05.31 3813
2088 트리거가 적용된 메모리 최적화 테이블에서 alter table 실패 jevida(강성욱) 2017.05.31 3392
2087 메모리 최적화 테이블 변수 및 예상 행수 jevida(강성욱) 2017.05.31 3035
2086 백업 파일 복원과 3241 오류 (Microsoft® SQL Server® Backup to Microsoft Azure®Tool 사용) jevida(강성욱) 2017.05.31 3262
2085 In-Memory OLTP를 사용할 때 체크포인트 파일이 너무 많아 지는 이유 jevida(강성욱) 2017.05.31 2748
2084 메모리 최적화 테이블변수와 701 오류 (loop 사용으로 인한 메모리 부족 오류) jevida(강성욱) 2017.05.31 3460
2083 메모리 최적화 테이블에서 해시 인덱스 사용시 버킷 카운트의 중요성 jevida(강성욱) 2017.05.31 3108
2082 인덱스 리빌드시 병렬로 실행계획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 jevida(강성욱) 2017.03.13 5072
2081 SQL Server 833오류 (15 Sec Slow IO Detected) jevida(강성욱) 2017.03.13 4521
2080 SQL Server nonpreemptive 모드에서Long Sync IO 오류 jevida(강성욱) 2017.03.13 3324
2079 SQL Server DTC Transaction의 SPID = -2 반환 jevida(강성욱) 2017.03.13 2460
2078 SQL Server Read/Writer 동기화 작동 원리 jevida(강성욱) 2017.03.13 2819
2077 SQL Server가 논리 및 물리 프로세서를 결정하는 방법 jevida(강성욱) 2017.03.13 2955
2076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삭제 오류 jevida(강성욱) 2017.03.13 2935
2075 SQL Server ODBC Driver 및 Command package Tool 설치 jevida(강성욱) 2017.01.11 485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