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날이 추워지니 생각나서 정리해 올려 봅니다.
예전에 자동차 타이어 셀프 교체기를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배터리 교체기.
배터리 교체 주기?
배터리 교체는 3년 정도에 한번 하라고 하는데요. 가끔 본네트 열고 보시면 색깔이 초록색이 아니라 적색? 이면 바꾼다고 합니다.
저의 경우는 3년 정도 전후에 갈았습니다. 겨울에 시동을 걸면 잘 안 걸려 불안불안 하는 시기가 있으실 텐데 대부분 배터리나 점화스파크 문제입니다.
자동차 배터리 구매도 쉽습니다.
그냥 온라인에서 구매 하시면 됩니다. 친절하게도 차종별로 선택 가능하게 제원표도 제공해 주시니 선택이 쉽습니다.
더 고마운건, 구 배터리 반납을 조건으로 공구도 무료로 빌려 주십니다.
(더 놀라운건, 이미 공구가 내차에 있다는 것이지요. - 기본 스패어 교체 세트의 복스 공구로도 됩니다.)
배터리를 분리
여기가 걱정이 되실 텐데요. 생각보다 단순하고 쉽습니다.
(정 걱정되시면 카센터 가셔서 공임비 오천원~만원 정도면 해주신다고 하는데, 해보시면 어렵지 않습니다.)0
본네트 열어 보시면 배터리 보입니다. + - 에 연결된 케이블을 드라이버 등으로 살짝 풀어서 연결을 제거 합니다.
배터리 주변을 보면, 배터리를 볼트로 고정한 부분이 보여요. - 제 차는 쫌 허접해 보일 정도... 쿨럭...
볼트 고정을 복스로 풀면 거짓말처럼 쉽게 배터리가 해체 됩니다.
이제 받은 배터리를 장착 합니다.
장착시 배터리에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제것은) 제거 하시고, 장착 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케이블 세트 연결 하면 끝.
차내에 시계나 라디오 채널 설정이 초기화 되었을 수 있습니다. 다시 설정해 주세요.
폐 배터리를 그대로 박스에 넣고 공구와 함께 반송 하시면 됩니다.
폐 배터리 판매?
검색해 보니 이 폐 배터리를 사는 곳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 곳이 가깝다면 거기 파셔도 좋을 듯 해요.
저는 공구를 빌린지라, 폐 배터리와 함께 반납~
참 쉽죠잉~
Comment 2
-
죠리퐁
2012.12.05 16:07
-
jevida(강성욱)
2012.12.05 17:10
보통 자기 차에 달린거보다 위에 등급도 장착이 됩니다. 돈차이 얼마 안하니 한단계 위의 용량으로 설치해보세요 . 연비도 좋아지고 라이트도 밝아진답니다, (너무 큰 용량은 발전기가 못따라가니! 욕심부리시지 마시구요 ^^)
자꾸 방전되서 저도 이번주에 같은 방법을 교체 하려구요.
제가 갈려다가 , 출장으로 무료로 해준다길래 그곳에 하기로 했습니다.
90L 델코걸로 8만4천원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