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과학기술 정책방향 대국민 공청회 개최 <뉴시스/11-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엘타워에서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안)' 수립을 위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했다.
제5차 기본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따라 범부처 합동으로 수립하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계획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그에 따른 전략, 추진과제 등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이번 계획은 실질적으로 윤석열 정부의 향후 5년간 과학기술 정책의 큰 방향을 제시하고, 범부처 차원의 과학기술 정책 추진체계를 정비하는 데 의의가 있다.
디지털 전략의 핵심은 AI … 데이터 공급이 성패 가른다 <매일경제/11-07>
지난 9월, 세계 과학계를 놀라게 하는 뉴스가 터져나왔다. 과학계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브레이크스루상'의 영예가 다름아닌 영국 인공지능(AI) 기업 '딥마인드' 연구자들에게 돌아간 것. 딥마인드는 2016년 세기의 대결로 불리는 '이세돌 대 알파고'의 대국을 마련한 기업. 당시 알파고가 예상하지 못한 대국 전개로 이세돌 9단을 4승1패로 누르면서 비단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AI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커졌다. 딥마인드는 AI 연구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알파고의 후예로 단백질 구조 예측 AI인 '알파폴드'를 개발하고, 현재 인간 내 2만여 단백질 중 98.5%를 분석하는 수준까지 알파폴드 성능을 끌어올렸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생물학계 50년 난제인 '단백질 접힘 문제'를 풀기도 했다. 알파고라는 AI 모델은 이렇듯 바둑 대국을 넘어 인류 생명 연장의 비밀을 풀 열쇠로 급부상하고 있다.
정해진 업무만 하는 조용한 그만두기…조용한 것이 진짜 문제 <한국경제/11-07>
틱톡에 올라온 짧은 영상에 등장한 ‘Quiet Quitting’은 회사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태도인데, 새로운 이름을 얻어 시선을 끌고 있다.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2023>에도 소개됐다. 여기서 ‘그만두기’는 회사를 그만두는 것이 아니다. ‘정해진 범위에서 벗어난 업무에 시간을 쓰는 것’이나, ‘일과 삶을 동일시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다. 즉, 몰입이 깨진 상태를 말한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본격화, 게임시장 지각변동 예고 <테크월드/11-07>
판 커진 이미지 생성 AI 레이스...구글 본격 가세하나 <디지털투데이/11-08>
구글·넷플, 자체 CDN 구축…'공짜 망 이용' 법적 근거 찾기 어려워 <전자신문/11-07>
애플, 올해 아이폰14 300만대 생산 감축…中정저우 공장 폐쇄 여파 <뉴시스/11-08>
네이버 최수연 "뉴클라우드로 조직통합…1시간 장보기 연내출시"(종합) <연합뉴스/11-07>
비슷한 성적표인데 뭐가 달랐나…네이버 '웃고' 카카오 '울고' <머니투데이/11-08>
물류 디지털 전환…네이버·카카오·KT '격돌' <한국경제/11-07>
구현모 KT 대표, 연임 의사 곧 밝힐 듯..."경영 성과는 합격점" <머니투데이/11-08>
협력사 챙기는 LG전자, 사이버보안 강화 지원 <이데일리/11-07>
5분기 연속 두 자릿수 매출 성장 클라우드·AI 사업에 집중한 덕분 <매일경제/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