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 플랫폼 발전전략 28일 발표...자율규제 인센티브 제도화 <디지털투데이/12-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플랫폼 발전전략을 오는 28일 발표한다. 전날인 27일에는 디지털 플랫폼 정책포럼을 열고 최종 보고서를 업계에 공유한다. 과기정통부의 디지털 플랫폼 발전전략의 핵심은 전기통신사업법 전면 개정을 통한 자율규제 및 자율기구 제도화로 ▲산업계 주도형 자율규제 원칙 명시 및 평가 참여 인센티브 연계, ▲자율규제 인센티브 제도화, ▲디지털 위기관리 체계 구축 등 안전한 서비스 기반 조성 등이다.
중국 국적자 뽑은 과기부 `블라인드 채용` 내년 1월 폐지 <디지털타임스/12-22>
내년 1월부터 과학기술 분야 연구기관에 적용해 왔던 '블라인드 채용'이 전면 폐지된다. 문재인 정부 때 도입된 블라인드 채용은 연구기관의 연구직 채용 과정에서 응시자 관련 정보를 전혀 알 수 없어 모 연구기관은 중국 국적자를 뽑는가 하면, 응시자의 연구경력 과대·허위 기재 등 부작용이 잇따랐다. 이로 인해 연구현장에서는 연구직 응시자에 대한 연구성과와 내용 등을 토대로 채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인공지능 챗봇 ‘챗GPT’ 등장에 구글도 비상 <조선비즈/12-22>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이 오픈AI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대화형 메신저 ‘챗GPT’(ChatGPT) 등장에 비상이 걸렸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인간과 상당한 수준의 대화가 가능한 챗GPT가 구글 검색 엔진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라고 NYT는 전했다. NYT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오픈AI가 개발한 챗GPT에 대해 심각한 위기 경고를 뜻하는 ‘코드 레드’(code red)를 발령했다.
[Cover Story] 새로운 ‘구독’형 인류의 탄생 <매일경제/12-22>
MS, 장바구니에 넷플릭스 담았다?…인수 추진설 제기 <블로터/12-22>
[글로벌] 법정 증인으로 나선 저커버그…"위딘 인수는 경쟁 촉진할 것" <테크M/12-22>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보안 형상관리 서비스 출시 <디지털데일리/12-22>
네이버 100번째 스타트업 투자처…슬립테크 '프라나큐' <뉴시스/12-22>
카카오 '전원 재택근무제' 손본다 <매일경제/12-22>
과기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AI+X)’ 3개년 사업 성과 확산 <파이낸셜뉴스/12-22>
돌아온 ‘해양플랜트’ 강자 삼성重…2조원대 계약 수주 <매일경제/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