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산 클라우드 공공 진출 본격화…'보안' 우려는 여전 <이데일리/02-01>
국계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공공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는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등급제’가 예정대로 시행된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들의 우려는 여전히 크지만, 공공 클라우드의 빠른 민간 전환을 강조하는 정부가 신속한 제도 도입을 밀어붙인 까닭이다.
정부, 문턱 낮춘 '클라우드 보안인증 등급제' 시동…제도 정비 첫 단추 뀄다 <아주경제/02-01>
정부가 논란의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등급제 시행을 위한 제도 정비 ‘첫 단추’를 뀄다. 클라우드 기업이 공공 조달 시장 문턱을 넘기 위해 일반 인터넷(외부망) 영역과 물리적으로 분리한 별도 인프라·시스템 구축, 운영, 관리 시설과 인력을 갖추기 위한 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1일부터 CSAP 제도 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와 국가정보원 지침이 본격 시행된다. 정부는 이로써 작년 예고대로 논리적 망 분리 영역을 구성하고 CSAP를 취득한 민간 클라우드로 일부 공공 정보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공공 조달 클라우드 시장 일부 영역에 진입하기 위한 요건을 완화했다.
'챗GPT 신드롬'…세계 AI 시장 연 500조원 규모로 커진다 <한국경제/02-01>
인공지능(AI)이 새해 글로벌 투자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챗GPT가 뛰어난 기술력을 선보이며 출시 두 달여 만에 하루 이용자 1000만 명을 넘기는 등 신드롬을 일으키면서다. 챗GPT는 자료수집·정리·오류 검토 등을 채팅으로 요청하면 AI가 처리해 답변하는 기술이다. 테스트 버전임에도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자 그동안 수익성에 의문을 품으며 AI 관련 투자를 머뭇거리던 시장 분위기도 바뀌고 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AI 관련 대표 기업들에 본격적으로 투자해볼 만한 시점이라고 조언한다.
마이크로소프트, 레이더 소프트웨어 전문 '스파르탄레이더' 베팅 <더구루/02-02>
마이크로소프트가 차량용 레이더 소프트웨어 전문 스타트업 '스파르탄레이더(Spartan Radar, 이하 스파르탄)'에 베팅했다. 스파르탄은 투자금을 기반으로 제품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구글, 챗GPT 맞설 AI 챗봇 테스트 중…검색엔진 탑재도 시험" <연합뉴스/02-01>
애플, 맥북도 접나…"2025년 20.5인치 폴더블 노트북 출시" <지디넷/02-01>
페이스북 메타, 3분기 연속 역성장...메타버스는 아직 '돈먹는 하마' <디지털투데이/02-01>
메타 CTO "회사 지속 성장 위해 우선순위 정해야" <지디넷/02-01>
메타, 오큘러스 게임 ‘에코 VR’ 종료 <IT조선/02-01>
한국어 약한 챗GPT…네이버·카카오 반격 <전자신문/02-01>
과기정통부 소속·산하기관 휴일·심야 긴급차단제 확대시행 <연합뉴스/02-01>
삼성, 퀄컴·구글과 XR 시장 도전…"모바일 미래 변화" <아시아경제/02-02>
삼성 R&D, 파운드리 수율·생활가전 수익성 '선택과 집중' <아시아경제/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