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월 중 '챗GPT' 대응 초거대 AI 정책 방향 수립한다 <뉴스1/03-08>
정부가 이달 중 '챗GPT' 열풍에 대응하기 위한 초거대 인공지능(AI) 정책 방향 수립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035720) 판교 아지트에서 AI 분야 민관 최고위 관계자들과 함께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 대화'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교육부 나주범 차관보,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등이 참석했다.
이종호 장관 "머리 크면 공부 잘해?…우린 AI 반도체 경쟁력" <뉴시스/03-08>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초거대 인공지능(AI) 경쟁을 벌이는 우리 기업들에게 "초거대AI는 파라미터(매개변수) 규모 보다는 경량화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독려했다. 이 장관은 8일 오후 경기도 판교 카카오 사옥에서 AI 분야 민·관 최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챗GPT 대응을 위한 초거대 AI 정책방향' 관련 의견을 수렴했다.
“더 빠르게, 더 넓게 까는 자가 이긴다”...본격화된 AI 생태계 전쟁 <조선일보/03-09>
고객관계관리(CRM) 소프트웨어 업체 세일즈포스가 7일(현지시각) 오픈AI의 기술을 적용해 기업 영업, 고객 서비스, 마케팅 부서원들이 업무용으로 쓸 수 있는 생성 AI 서비스 ‘아인슈타인GPT’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용자가 아인슈타인GPT에 지시하면, AI가 요약, 이메일 작성, 마케팅 코드 등을 내놓는다. 기업들이 광고 캠페인에 쓸 수 있는 이미지도 만들어준다. 세일즈포스는 또 사무용 메신저 슬랙에 오픈AI의 챗GPT를 적용했다. 슬랙의 대화를 요약하고 답장을 써준다.
구글, AI 챗봇 먼저 개발하고도 출시 늦추다 MS에 주도권 내줬다 <연합뉴스/03-08>
구글 “음성 인공지능 USM으로 세계 언어 장벽 허문다” <IT동아/03-08>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폰은 '아이폰13'…"톱10 중 8개가 아이폰" <뉴시스/03-08>
페이스북 시대 저무나…국내 월 이용자 1천만 명 아래로 <연합뉴스/03-09>
네이버·카카오 "빅테크 AI에 잠식 우려"…정부 지원 당부 <연합뉴스/03-08>
[단독]정부, 상반기 '양자선언'…1000큐비트 양자컴 개발 추진 <이데일리/03-08>
JY의 결단…삼성, 신입 1만5000명 뽑는다 <한국경제/03-08>
삼성전자, TSMC 출신 부사장으로 영입…'패키징 개발 총괄' 맡긴다 <서울경제/03-08>
'고객가치 전도사' 구광모 회장, LG 사장단 올해 첫 소집<한국경제/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