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디지털플랫폼정부 마스터플랜 나온다...인프라 사업 추진 <디지털투데이/04-02>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디지털플랫폼정부 허브(DPG Hub) 등 인프라 사업을 추진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인프라 사업 추진 등을 핵심으로 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마스터플랜을 4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원래 일정은 3월까지 디지털플랫폼정부 로드맵을 마련하고, 국무회의에 보고할 계획이었다.
공공분야 '사서 쓰는 SW' 사용 확대···'SW 영향평가' 개정안 국회 통과 <전자신문/04-02>
공공이 소프트웨어(SW) 사업을 추진할 경우 민간에 해당 제품(상용SW)이 있다면 이를 우선 도입하도록 제도가 개선됐다. SW 개발·구축 중심인 공공 문화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국회는 이 같은 개선 내용을 담은 SW 진흥법 일부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박성중·강기윤 의원 등이 발의한 이 법안은 'SW 영향평가' 이행력을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AI챗봇 바드 대규모 업그레이드" <지디넷/04-02>
구글이 AI 챗봇 바드에 초대형 언어모델 'PaLM'을 적용해 성능을 대폭 개선한다. 31일(현지시간) 더 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순다 피차이 구글 CEO는 바드를 초대형 언어모델 'PaLM'으로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바드는 대화 전달에 중점을 둔 언어모델인 구글 람다(LaMDA)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며 “이 언어모델은 효율성을 위해 경향화한 버전으로 현재 제공하는 서비스에 일부 적합하지 않은 느낌이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 비전문가도 간단히 생성AI 다루는 도구 공개 <지디넷/04-02>
구글이 인공지능(AI)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생성AI를 활용해 업무용 앱을 만들거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공개했다.
30일(현지시각) 더레지스터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클라우드는 개발 컨퍼런스 클라우드데이터&AI서밋에서 ‘젠 앱 빌더’를 공개했다. 젠 앱 빌더는 생성AI 앱 빌더(Generative AI App Builder)의 줄임말로 코딩이나 복잡한 계산 없이 업무용 생성AI 앱을 만들거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GM, 애플 버리고 구글과 손잡는다 <파이낸셜뉴스/04-02>
애플, 英 상대 모바일브라우저 독과점조사 중지요구 소송서 이겨 <연합뉴스/04-01>
“고작 7만원이였나” 36만원 애플 이어폰, 밝혀진 충격적인 원가 <헤럴드경제/04-02>
네이버 검색, 멀티모달 도입 가속화…섬세한 검색 가능해진다 <지디넷/04-02>
네이버 웨일 스페이스, 북아이피스와 MOU... 출판교재·부교재 탑재 <조선비즈/03-31>
카톡 단톡방 '허락해야 초대' 기능 정식 추가…보안도 강화 <연합뉴스/04-03>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한투증권 STO 발행 인프라 구축 <지디넷/03-31>
[초점] 정부, 민간 클라우드 '외면'…정부 데이터센터 '선호' <아이티데일리/03-31>
마이데이터 도입 위한 법령정비 착수…관계부처 표준화 협의회 <연합뉴스/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