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질문과 답변 게시판
데이터베이스 개발/운영 관련 질문과 답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을 이곳에서 문의하시면 SQLER 분들의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의를 하실때에는 최근 작업하신 특이 사항이나, 장애 발생 전 상황을 상세히 올려 주시면 답글을 적어주시는 SQLER분들의 답변이 더 정확할 수 있으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쿼리 문의일 경우, 실제 문제가 재현되는 테이블생성, 샘플데이터 생성 쿼리를 함께 올려 주시면 더 빠르고 정확한 쿼리 문의 응답이 가능합니다.
모델러 뽑는다고 해서 프로젝트에 지원해서 뽑혔는데....
저보고 MS SQL Server도 구축하라고 하네요.
Oracle은 해봐서 아는데, SQL Server는 처음이라 당황스럽네요.
pk생성시 default 가 clustered 인데, 보통 clustered를 사용하나요?
그냥 default로 clustered사용해야 할지 , 아니면 제가 익숙한 nonclustered로 생성할지 고민되네요.
Comment 2
-
못갈키조
2019.08.14 08:19
제가 볼때 james님은 클러스터드 인덱스와 pk개념을 헷갈리시는 것 같아요. pk는 고유값 개념이고 클러스터드인덱스는 데이터 정렬개념입니다.
클러스터드 인덱스는 테이블에서 한 개밖에 지정할 수 없고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니 잘 고려하시길 권장드립니다.
pk가 꼭 클러스터드 인덱스일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드면 날짜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빈도가 높다면 pk는 유닉 논크러스터드인덱스로 두고 날짜 칼럼을 클러스터드 인덱스로 두는 것이 성능에는 더 이득입니다. ^^
상황에 따라 다르겟지만, 일반적으로는 clustered로 만드는게 좋습니다.
뭐든, 상황에 알맞게 만드는게 중요하겟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