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v
sys.dm_exec_requests에 보면..
reads, logical_reads, writes컬럼이 있습니다.
MSDN의 설명을 보면
reads - 이 요청에서 수행된 읽기 수입니다. Null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logical_reads : 요청에서 수행된 논리적 읽기 수입니다. Null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writes - 이 요청에서 수행된 쓰기 수입니다. Null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나옵니다...
제 짧은 생각으로 reads, writes는 rowcount를 얘기하는건제 물리적 페이지인지...감이 않오고요..
logical_reads는 논리적 읽기 수...말그대로 버퍼풀에서 읽어온 페이지의 수인거 같은데...
우선 reads, logical_reads, writes컬럼의 정의를 알기 쉽게 설명 좀 해주세요~~
고수님들 부탁드리겠습니다~!!
Comment 2
-
쓸만한게없네(윤선식)
2013.04.18 10:19
-
수노
2013.04.18 10:27
역시 고수님들 많으셔요 ㅎ 저도 한참 찾고 있었는데..
logical_reads가 캐시에서 읽은 페이지 수.. 즉 버퍼풀에서 읽은거란건 알겠는데요.
reads랑 writes는 그럼 멀까요?..
문맥상으로는 디스크에서 작업 된 물리적인 페이지 수 같긴한데 말이죠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77648(v=sql.105).aspx
이거 보고 이야기하시는 거죠?
READS, WRITES 등의 단위는 페이지입니다.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91475(v=sql.105).aspx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84361(v=sql.105).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