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사에서 운영중인 웹서버가 하나 있습니다.
IP는 공인 IP가 할당되어 있으며 도메인 그룹으로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메인 정책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 웹서버에는 MS-SQL 2000 이 설치되어 있고
현재 운영중인 사이트는 LOCAL DB에 연결되어 돌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웹사이트의 어느 한 페이지에서 cafe24에서 운영중인 웹사이트의 contents를 가져와 뿌려줘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즉 cafe24에서 운영중인 웹사이트의 DB를 연결해 테이블 정보를 하나 불러와 데이터를 뿌려주는 것이죠..
일단 cafe24에서는 호스팅되고 있는 서비스의 sql 버전이 2005이며 외부에서 접근할 경우 따로 IP를 차단하거나 하는 내용은 없습니다.
그래서 일단 제 개발용 PC에서 cafe24에 DB를 연결하는 연결문을 만들고 데이터를 조회하여 정보를 뿌려보았습니다.
잘 됩니다.
그리고 이 소스를 그대로 회사에서 운영중이 웹서버에 올리고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DB connection 에러가 납니다.
아마도 방화벽이 작동하나 싶어 회사의 웹서버에 들어가 방화벽을 보았습니다...
방화벽은 꺼짐으로 되어 있네요...
그래서 회사 웹서버의 EM을 띄우고 cafe24 DB 정보를 등록하고 연결을 해봅니다.
역시나 연결이 안됩니다.
회사의 웹서버에서 1433포트가 막혀있나 싶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수행해 봅니다.
telnet 웹서버IP 1433
자기 자신의 IP를 지정하고 1433 포트를 지정하니 연결이 됩니다. 일단 윈도우 서버 단에서 1433이 막혀있는 건 아니구나 판단됩니다.
그래서 이제는 cafe24의 db접속 주소와 1433 포트를 지정하고 telnet으로 연결해 봅니다.
연결이 안되는 군요...
아마도 라우터 단에서 웹서버에 대한 port를 모두 차단시켜 놓은 상태인 것 같습니다.
inbound 되는 80port 이외 다른 건 모두 막은 듯 싶은데요...
여기서 궁금한 점은
회사의 웹서버는 cafe24의 db에 연결될 때 1433 포트가 열려 있어야 하는가? 입니다.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니 서버의 포트는 1433이지만 클라이언트의 포트는 1024 ~ 5000 사이의 임의이 값을 연결 한다고
되어 있던데... 그럼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cafe24에 연결하려면 1024~5000 포트를 모두 열어줘야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지정된 1433 포트만 열어주면 되는 것인가요?
만약 지정된 1433 포트만 열어서 연결 되도록 하려면 cafe24 sql server에서 클라이언트 설정에 대해 1433포트를 지정하고
자동설정을 없애야 하는 것인가요? 그럼 cafe24에 이 부분을 문의해서 처리해야 하는 것이 맞는지요?
현재 뭐 하나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지금 라우터와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그다지 좋지 못해서 일단 제가 요구해야 할 사항을 먼저 확실히
알아 놓고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아서 이곳에 제가 추정하고 있는 논리가 맞는지 어떻게 진행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을 구해봅니다.
감사합니다.
MSSQL 디비서버 연결 포트는 1433입니다.동적할당이 되지 않는한 Default 1433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