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출입테이블을 하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출고 테이블을 하나 사용합니다.
재고 테이블 하나 사용합니다.
조건에는 시작일 종료일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불을 나타내려면
일단 이월을 나타내기 위해서 시작일의부터 현재일까지의
입출고 테이블을 조회해서 재고 테이블의 데이터를 통해 가감을 하여
1.이월재고를 구합니다.
시작일 이전의 출고데이터를 조회합니다.
조회된 출고데이터에서 실출고 테이블을 비교해서
2.이월 선출고 데이터를 구합니다.
3. 1과2를 더하여 이월합계데이터를 구합니다.
이제 입출고 테이블을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조회하여
4. 수불내역을 조회합니다.
그후에 앞의 이월재고 구하는 방식으로 하되
그 기준이 시작일이 아닌 종료일로 하여
5. 현재고 현선출고 현합계 데이터를 구합니다.
이런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단 값은 원하는 형식으로 나오긴 하나
처리속도, 불러오는 조회 속도나 너무 늦습니다.
조금만 바까주면 금방금방 물제가 없을텐데;;
생산관리쪽을 처음하는거라서 모르는것 투성이네요
Comment 1
-
맨즈밤
2014.07.31 09:54
디비적인 접근이라면 인덱스라든지,모델링이라든지, 쿼리문튜닝등을 해야겠지요..
업무프로세스상 접근방법을 찾는것인가요? 재고를 다루는 ERP , MES 솔루션의 대부분은 마감개념을 도입해서 수불처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있습니다. 회사마다 , 솔루션마다 특성이 녹아있어서 이방법이 항상 맞다라고 할수는 없을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년마감을 가져가고 월마다는 집계성 데이터를 가져가거나 , 과거자료에 대해 수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월마감을 지으면서 기초,이월재고를 가져갈수도 있을겁니다. 또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면 더 상세하게 연마감+월마감+일집계를 가져갈수도 있겠죠 . 써놓고 보니 DB백업 방법을 적은거같군요. 전체백업,차등백업,로그백업....